1. 병충해와 방재
병충해는 병해에 의해 발병되는 것과 충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으로 나뉘는데 우리나라의 잔디류는 규산분을 많이 가지고 있으므로 조직이 강하여 병충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한 편이지만 녹평이나 황화병, 반엽병, 입고병에 걸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양의 잔디류는 병해가 심하며 설부병, 황갈 반점병, 스마일 몰드, 문고병, 코퍼스폿 등이 발생합니다.
설부병은 눈이 높을 무렵에 발생하는 것으로 잎과 줄기가 엷은 회색으로부터 갈색으로 변화하며 말라죽는 것입니다. 방제법으로는 유기황산제인 오소사이드가 효과적입니다.
황화병은 봄철 발아 후와 여름에 발생되는데 증상은 잔디의 생육이 부진하고 잎이 누렇게 됩니다. 심하면 녹병이 되기도 하는데 주로 고온건조 하거나 일조부족, 객토 과다, 심한 풀 깎기에서 발생합니다. 방제를 위해서는 우스풀론, 메르크론 등 유기수은제나 오소사이드를 물에 타서 살포합니다.
녹병은 적수병이라고 하는데 고온다습한 여름이나 가을에 잔디의 잎에 발생되는데, 병에 걸리면 오렌지 갈색의 점무늬가 생기고 이반점에서 커피가루 같은 포자를 비산하게 됩니다.
반엽병은 봄철부터 가을에 걸쳐 고온 다습시나 과도한 잔디 깎기로 잔디가 쇠약할 때 발생되는 병입니다. 잎이 담갈색의 반점, 줄무늬가 생기고 점점 퍼져서 잎 전체가 황갈색으로 되어 고사합니다. 질소과용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우스플론이나 다이젠을 살포하면 됩니다.
스마일 몰드는 백색부패병으로 불리는데 고온다습시 잎 전체가 흰 가루를 덮어씌운 것 같이 되며 방제법으로는 유기황산제인 오소사이드를 살포하고 통기와 배수를 조절해 주면 됩니다.
입고병은 여름철의 고온다습시에 발생하는데 잎의 끝에서부터 황색으로 변하여 갈색이 되고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시들게 됩니다. 주로 그늘진 곳이나 통풍이 불량한 곳, 잔디가 도장되었을 때 발생됩니다.
충해는 충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로 굼벵이는 오래된 잔디밭에 많이 발생되는데, 잔디의 뿌리를 식해 하므로 군데군데 잔디가 죽게 됩니다. 줄기와 잎을 갉아먹는 야도충과 개미 땅강아지 등으로 인한 피해는 살충제를 살포하면 방제됩니다.
2. 잔디밭의 객토
포복경이 지상으로 노출되어 잔디의 생장이 좋지 못하거나 밟기로 인해 떼가 쇠가 약해졌을 때 4~6월경에 비옥한 흙을 뿌려서 노출된 포복경을 덮어주어 부정아와 부정근을 많이 발생하게 함으로써 치밀한 잔디밭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연 1회 실시하여야 하며 잔디밭의 높고 낮은 곳에 흙을 채워서 평평하게 해야 합니다. 객토 사용 시에는 비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뗏밥은 노출되는 땅속줄기를 덮어주기 위해 잔디밭 표면에 고르게 뿌려 주는 흙을 말하는데, 잔디의 생육을 돕고 표면을 고르게 해 줍니다. 또한 비료의 성분의 유실을 막고, 비료 사용과 동시에 행하여지므로 잔디의 생육을 촉진합니다. 뗏밥의 시기는 한지형 잔디는 이른 봄이나 가을에, 난지형 잔디는 5월에 잔디생육이 왕성한 시기에 행합니다.
3. 잔디의 갱신
오래된 잔디밭은 밟기와 깎기에 의해 노쇠현상으로 드문드문 죽어버리게 되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갱신하는 것입니다. 보통 잔디의 갱신은 흙속에 공기가 쉽게 통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과 황폐된 부분의 잔디를 들어내어 새로운 잔디를 입히는 작업 등입니다. 흙을 깊이 파서 그곳에 거름흙을 많이 넣어 채우고 잔디를 심으면 곧 활착 하게 됩니다. 또 오래된 잔디정원을 전면적으로 갱신할 때는 15cm 폭으로 줄을 띄어서 길게 잔디를 떼어낸 다음 그 자리에 흙을 10cm 정도 깊이 파고 거름흙을 기존의 잔디 높이만큼 채웁니다. 그러면 양쪽에 있는 잔디로부터 새로운 지하경과 포복경이 신장하여 떼낸 자리를 메꾸게 됩니다. 완전히 메꿔지면 나머지의 잔디도 같은 방법으로 갱신하고 보식할 자리가 넓으면 새로운 뗏장을 깔도록 합니다.
4. 잔디의 답압
잔디의 포복경이 지면에 붙어 기어나가지 못하고 공중에 들떠서 비확착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생육왕성기인 6~8월에 흙을 객토하고 사람이 밟거나 롤러를 이용하여 다져주면 포복경이 지면에 붙게 되어 치밀한 잔디밭이 조성됩니다. 이른 봄 해토와 동시에 들뜬 잔디를 활착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람이 밟거나 롤러를 굴려 다지면 잔디의 활착이 좋아집니다.
'관심) 조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조조경의 시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8.12 |
---|---|
자연석을 이용한 석조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 2023.08.12 |
잔디밭의 관리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0) | 2023.08.11 |
잔디의 번식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0) | 2023.08.11 |
잔디의 효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