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의 기능면에서 실용적 가치를 얻기 위해 식재되는 수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1. 경계분리
경계분리는 조경부지의 경계를 표시하는 식재수법으로 세부경관과 세부경관의 경계, 국부와 국부의 경계, 조경부지 주변의 경계가 필요할 때, 잔디밭의 코너, 잔디를 보호하기 위해 잔디밭과 길이 경계, 편면상의 구획을 분리할 때, 조각물이나 기타 재료를 강조하기 위해, 가정정원의 울타리나 학교의 울타리 등에 이용되는 식재수법으로 대상식 울타리식 등이 많이 이용됩니다.
2. 방광
방광은 비쳐오는 빛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생활에 해는 주는 것을 막기 위한 수법으로 서향집의 창문으로 들어오는 빛을 막을 수 있도록 수목을 식재하여 차광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향집 앞 연못이 있는 경우 오후의 햇빛이 창문으로 반사되어 생활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빛을 차광할 수 있는 지엽이 밀생한 수종을 식재하거나 또는 이와 같은 수종을 기술적으로 식재하여 바람을 연못으로 이끌어 연못의 물결이 파랑을 일으켜 광선이 난반사되어 반사광을 안 받게 하는 수법도 있습니다.
3. 방무
일반적으로 해안가의 도시나 해안가의 도로, 강변로, 기타 고속도로 지역이나, 포근한 날씨가 계속되는 봄날의 이른 아침이면 안개가 자주 끼어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이와 같은 지역에서는 빨리 안개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엽이 밀생한 수목을 그 지역에 많이 식재하여 안개가 지엽에 붙어 빨리 없어지게 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와 같은 식재수법은 방무립 또는 방로림이라고 한다.
4. 방사
해변 옆 고속도로를 달리는 차량에는 작은 모래가 전면유리에 부딪치서 유리가 파손되기 쉽고, 또 해안가나 강변에 위치하고 있는 주택에는 바람과 함께 모래가 불어와서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해풍이나 강풍에 강하고 모래가 날아와도 막아낼 수 있는 지엽이 밀생한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는 수법입니다.
5. 방서
방서는 일반적으로 좁은 곳보다 넓은 공간조경인 공원, 학교, 인도나 운동장의 주변 등에 내리쬐는 햇빛으로 인한 더위를 피하기 위하여 백합나무, 고부시목련, 단풍나무, 수양버들, 플라타너스, 졸참나무, 상수리, 느티나무와 같은 낙엽활엽수의 수종을 식재하여 그늘을 지게 하는 방법입니다. 또한 시렁을 만들어 담쟁이덩굴, 능소화, 인동덩굴, 포도나무 같은 것을 올려서 그늘을 지게 하는 식재수법도 있습니다.
6. 방연
자동차의 배기가스, 공장의 유출가스는 사람에게 큰 해를 가져오게 하므로 공장조경 또는 도로 주변의 가로수나 공해가 심한 도시에 조경을 설계할 때에는 내연성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여 공해의 피해를 정화할 수 있습니다.
7. 방음
인구가 증가와 산업이 발전으로 공장과 자동차가 증가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소음이 나는 쪽을 지엽이 밀생한 상록수를 생울타리식으로 붙여서 수벽을 만들어 식재하면 소음이 모두 그곳에서 멈춰 사라지게 됩니다.
8. 방진
공업지대나 도로 주변 같이 먼지가 발생되는 지역에는 지엽이 밀생 한 수종을 선택하여 도로변에 식재하여 먼지가 나무에 달라붙게 되어 먼지를 덜 나게 하는 수법입니다.
9. 방풍
농경지의 농작물이나 도로 주변에서 강풍이 불어 피해를 입거나, 해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강하여 공동시설물이나 건축물을 파괴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지엽이 밀생 한 상록수로 내풍성 수종을 선택하여 식재하면 됩니다.
10. 방화
불이 붙기 쉬운 지역에서 불이 났을 때 다른 지역으로 불이 옮겨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화성 수종을 식재하는 수법입니다.
11. 차페
필요에 따라 경관을 가려서 효과를 얻는 수법으로 도로에서 내다보이는 경관이 아름답지 못할 때, 보기 흉한 경관을 보이지 않게 가릴 때, 절토면이 보기 흉할 때 등에 지엽이 밀생한 수목을 울타리식 또는 기타 식재법을 이용하여 경관을 보이지 않게 가리는 수법입니다.
또한 아름다운 경관을 살짝 보이지 않게 가려서 식재하여 경관을 한층 더 깊이가 있고 무게가 있으면서도 묘미를 감상할 수 있게 사용하기도 하는 수법입니다.
12. 채광
건물의 창문을 통해 빛을 받아들이는 것은 보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가정정원은 수목식재 장소의 선택을 충분히 검토하여 채광문제를 고려해야 합니다. 여름은 녹음으로 인해 창문으로 들어오는 무더운 빛을 가려주고, 겨울은 낙엽이 져서 나뭇가지 사이로 실내까지 일광이 들어와 따뜻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남향주택인 경우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우므로 남쪽의 창문 앞에 정원수를 식재할 때는 낙엽활엽수를 식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도로 남쪽가에 상록수를 생울타리식으로 식재를 하면 추운 겨울 눈이 쌓여 식재된 상록수의 그늘로 인해 눈이 녹지 않아서 차량이 미끄러질 수 있기 때문에 채광은 중요합니다.
13. 통풍
통풍이 잘되어야 할 곳에 지엽이 밀생한 상록수를 촘촘히 심으면 통풍이 잘 안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엽이 밀생 한 상록수보다는 낙엽수를 선택하고 좁은 면적에는 많은 수목을 식재하지 않는 것이 통풍에 도움이 됩니다.
14. 불규칙한 부지 형태의 수정
불규칙한 부지의 모양을 고치려고 할 때, 대상식재하여 수정하는 수법입니다. 학교나 공원 또는 불규칙한 넓은 조경부지를 서구식의 기하학식 조경으로 만들려고 할 때는 쥐똥나무, 측백나무, 회양목, 향나무, 꽝꽝나무를 식재하여 기하학식 모양으로 테두리를 정하여 식재하면 불규칙한 부분이 가려져서 조정설계에 차질이 없게 됩니다.
'관심) 조경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수목의 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8.09 |
---|---|
조경수목의 월동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8.08 |
수형과 배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7.27 |
토피아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7.27 |
목적에 따른 수목의 정지전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0) | 2023.07.26 |